이번에는 Kubernetes의 리소스를 정의하는 YAML 형식의 파일 및 kubectl apply 명령어를 사용하여 Pod 생성 실습을 진행하겠습니다. Pod 생성 YAML 확인 및 생성 리소스의 API 버전을 지정합니다. 이 예제에서는 v1 버전의 API를 사용합니다. apiVersion: v1 생성하려는 리소스의 종류를 지정합니다. 이 경우에는 Pod를 생성하므로 "Pod"로 지정합니다. kind: Pod Pod의 메타데이터를 정의합니다. "name" 필드에는 Pod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이 예제에서는 "nginx-pod"라는 이름을 사용합니다. metadata: name: nginx-pod Pod의 스펙을 정의합니다. "containers" 필드 아래에 컨테이너의 정보를 정의합니다. "name" 필드에는 컨테이너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이 예제에서는 "nginx"라는 이름을 사용합니다. "image" 필드에는 컨테이너가 사용할 이미지를 지정합니다. 이 예제에서는 "nginx:latest" 이미지를 사용합니다. spec: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nginx:latest 이렇게 정의된 YAML 파일은 kubectl apply 명령어를 사용하여 Kubernetes 클러스터에 해당 리소스를 생성하게 됩니다. 그러면 이제 실제로 Pod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아래의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합니다. kubectl apply -f - <<EOF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nginx-pod spec: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nginx:latest EOF 위 명령어는 YAML 내용을 Pod 생성 명령어로 직접 입력하는 방법입니다. 여기서 ...
WhaTap Kubernetes Day 2024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핵심인 IT 현대화. 애플리케이션 및 인프라의 배포, 운영 방식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킨 쿠버네티스. 하지만 그 이면에 숨겨진 복잡함 때문에 망망대해에 홀로 남겨진 듯한 느낌을 받은 적이 있지 않나요? 올해 처음 열리는 WhaTap Kubernetes Day 2024는 쿠버네티스의 복잡성을 극복하고 운영의 해법을 찾기 위한 인사이트를 제시하고자 합니다. 쿠버네티스와 옵저버빌리티의 관계, 옵저버빌리티 확보를 위한 와탭 라이브 시연, 핵심 모니터링 지표 소개, 그리고 모니터링 기획과 개발 과정에서 와탭 개발자들이 안고 있는 솔직한 고민들을 들려드리는 시간까지 충실하게 준비했습니다. 쿠버네티스라는 거친 항해에 길잡이가 되어 줄 이번 행사에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등록 : https://whatap.io/ko/whatap_k8sday
최진식 와탭랩스 쿠버네티스 개발그룹 그룹장은 “쿠버네티스는 과거 서버 환경에 비해 모니터링해야 하는 컨테이너 수가 많고, 컨테이너의 생존 주기를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로그 수집과 조회에 어려움이 따른다”며 “하지만 로그는 서비스 운영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메시지를 담고 있는 중요한 데이터기 때문에 반드시 통합 로그 환경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동민 와탭랩스 쿠버네티스 개발그룹 매니저는 “와탭 쿠버네티스 모니터링은 전문가들이 선별한 핵심 지표와 사전 구성된 대시보드를 제공해 모니터링 구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며 “특히 쿠버네티스 네임스페이스별로 모니터링 환경에 대한 사용자 접근 권한을 상세하게 제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출처 : 데이터넷(https://www.datanet.co.kr) 원문 : https://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7528
댓글
댓글 쓰기